반응형

전체보기 289

#26 섹터 224 공략 적 기지 점령 - Mindustry 민더스트리 마인더스트리 공략

네임드 섹터 핵 생산 단지와 인접한 지역이며 극한의 위험도, 섹터 226을 공략합니다. 섹터 229에서 출발! 섹터 224와 섹터 229가 숫자 한자리 차이라 헷갈리네요..@_@ 뚜둥! 주로 얼음과 보라색 땅으로 이뤄져있는 지형에 모래는 많이 보이지 않네요. 적 기지 방어가 살벌합니다. 메타 벽뒤에 숨어있는 스펙터와 보호막 프로젝터들.. 적 코어 주변엔 이번에도 역시 포어쉐도우가 있네요. 극한의 위험도엔 항상 포어쉐도우가 등장하는듯! 토륨을 이용해 쉽게 발전할 수 있는 RTG 발전기를 먼저 건설합니다. 건설도중 단계가 시작되었는데 적 유닛이 나오질 않네요. 3단계에서도 마찬가지입니다. 코어의 토륨을 빼내어 RTG 발전기 하나에 넣어주면 압축 공기분사 드릴을 비롯한 발전 시설이 가동되기 시작합니다. 기본 ..

대전역 맛집 “마성소국밥” — 국밥 맛집, 소국밥 맛집 방문후기

점심 식사를 하지못한채 대전으로 내려와 역 근처 식당을 찾아봤습니다. 든든한 한끼와 뜨끈한 국물이 땡겨 대전역과 머지않은 곳에 위치한 마성소국밥에 찾아갔습니다. 대전역에서 걷다보면 마성소국밥의 옆모습부터 만나게 됩니다. 대전역 마성소국밥 정면. 시장으로 들어가는 길목같았습니다. 대전역 마성소국밥은 주방이 공개되어 있는데 이정도면 깔끔한편입니다. 마성소국밥의 자신만만한 매력어필 ㅎㅎㅎㅎ 기대가 되네요. 맘에드는 자리에 앉아 소머리국밥 하나를 주문했습니다. 찬으로 나오는 양파 절임과 배추김치, 깍두기. 천엽이 기본으로 제공됩니다. 재료 소진시까지 1인 기본 1접시만 제공이 된다네요. 월요일 오후 세시정도에 방문했는데 원래 이시간까지 천엽이 남아있는지는 모르겠습니다. 펄펄 끓는 소머리국밥 한그릇이 나왔습니다...

쩝쩝박사 2022.09.26

#25 섹터 229 공략 적 기지 점령 - Mindustry 민더스트리 마인더스트리 공략

극한의 위험도인 적 기지, 노멀 섹터 229. 인접한 섹터 70의 자원을 가지고 출격합니다. 보라보라한 지형이네요. 다양한 자원을 비롯해 석유가 매장된 지역입니다. 모노-폴리가 생산되기 시작합니다. 검은 모래로 된 지형이 넓네요. 모래 걱정은 없겠습니다. 적이 꽤 넓은 영역을 차지하고 있는 모습입니다. 유닛 공장이 있네요. 적이 유닛을 생산하면 유닛에 따라, 단계 진행과 별도로 생산된 유닛이 공격해옵니다. 하지만 다행히도! 적의 창고에서 언로더로 출력되는 자원이 없네요. 자원이 없으면 유닛을 생산할 수 없는거 아시죠? 하하 자리만 차지하고 있는 적의 항공 공장입니다. 섹터 229의 적 코어는 두개입니다. 포어쉐도우와 멜트다운, 스펙터가 지키고 있네요. 극한 위험도의 적 코어 주변에는 포어쉐도우 1-2대 ..

#24 섹터 129 공략 적 기지 점령 - Mindustry 민더스트리 마인더스트리 공략

매우 높음 위험도의 적 기지인 노멀 섹터 129를 공략합니다. 섹터 129는 핵 생산 단지와 인접해있습니다. 자원을 가지고 출격! 보라보라한 지형이네요. 섹터 129 미니맵. 다양한 자원들이 보이고 적 기지가 절반 정도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섹터 129는 적 코어가 두개가 있습니다. 첫번째 적 코어의 위치와 두번째 적 코어의 위치입니다. 토륨만을 이용해 발전하는 RTG 발전기를 먼저 건설합니다. 전초기지의 자원 출격을 받으며 어느정도 폴리가 생산되면 시작 설계도를 철거하고 창고와 컨테이너를 건설합니다. 적의 지속적인 공격을 막기위해 듀오를 배치합니다. 저렴한 듀오는 어디서나 건설하기 편해요. 이번에 사용할 유닛은 레인! 레인을 만들기 위한 비용은 만만치 않습니다만 그래도 확실히 뛰어난 성능이긴 합니다. ..

#23 섹터 226 공략 적 기지 점령 - Mindustry 민더스트리 마인더스트리 공략

매우 높음 위험도의 노멀 섹터 226을 공략합니다. 노멀 섹터 226은 폐허 : Impact 0078과 인접한 지역의 적 기지입니다. 출격을 하는 섹터에 인접한 네임드 섹터가 있는 경우, 출격 출발지에 다른 선택지가 없습니다. 인접한 네임드 섹터 폐허 : Impact 0078에서 출격합니다. 모노-폴리 자동 생산 설계도를 가지고 섹터 226에 도착했습니다. 새하얀 눈 지형위에 코어가 자릴 잡았네요. 섹터 226 미니맵. 다양한 자원이 있고, 검은 모래된 지형도 조금 보이네요. 디펜스 라인의 적 터렛이 매우 강해보이진 않습니다. 방어 벽은 주로 메타 벽으로 구성되어있고, 종종 스펙터가 보이네요. 섹터 226의 적 코어는 하나입니다. 포어쉐도우와 멜트다운이 한대씩, 스펙터가 두대 배치되어 있네요. 이번 섹터..

#22 황폐한 협곡 공략 (재점령) - Mindustry 민더스트리 마인더스트리 공략

이전 점령지 섹터 124를 점령하던중 침공을 받은 네임드 섹터, 황폐한 협곡을 잃었습니다.. ㅠ ㅠ 60단계까지 버텨온 황폐한 협곡이었지만 엄청난 수호자가 등장해 순식간에 모든 시설이 파괴되었습니다. 다시봐도 엄청난 수호자.. 잃어버린 황폐한 협곡의 재점령을 위해 인접한 노멀 섹터 124의 자원을 가지고 출격합니다. 이전의 시설들 몇개는 남아있네요. 황폐한 협곡 도착후에 전초기지부터 들려 자원을 출격 받았습니다. 시작 설계도로 가져온 모노-폴리 생산 시설을 철거하고 코어 주변에 창고를 건설합니다. 모노-폴리-메가 생산이 하나로 통합된 공장을 가동하기로 합니다. 생산된 폴리들은 건물들의 빈자리를 열심히 채워나가고 있습니다. 부지런한 폴리들. 참 기특해요~ 폴리의 자동 재건 기능은 편리하긴 하지만, 왠지 노..

#21 섹터 124 공략 적 기지 점령 - Mindustry 민더스트리 마인더스트리 공략

섹터 124는 황폐한 협곡과 인접한 노멀 섹터입니다. 높음 위험도의 적 기지인 섹터 124를 점령해 비교적 짧은 주기로 적의 침공을 받고있는 네임드 섹터, 황폐한 협곡의 안정을 도모하고자 섹터 124를 공략하기로 합니다. 황폐한 협곡의 자원을 가지고 출격합니다. 지형에 의해 코어 설계도 아래 부분이 짤렸네요. 도착과 동시에 전초기지에 들려 자원을 출격받습니다. 섹터 124 미니맵. 적이 넓은 영역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왼쪽은 검은 모래, 오른쪽은 타르로 이뤄진 지형입니다. 검은 모래와 티타늄으론 플라스터늄을, 토륨과 모래로는 메타를 생산하기에 좋겠네요. 잠시 적 기지 구성을 살펴봅니다. 오랜만에 만나는 듀오! 섹터 124의 적 코어는 두개가 있습니다. 왜 있는지 의문이 드는 지형 구조.. 적 코어인척 하..

구의역 강변역 맛집 “타논55” — 태국음식 쌀국수 맛집 광진구 광진구의점 방문후기

병원에서 건강검진을 하고 식사를 위해 근처를 돌아다녔습니다. 머지않은 근처에서 예쁜 태국 음식점 태국 쌀국수집, 타논55 광진구의점을 발견했습니다. 쌀국수라.. 구미가 당기는군요. 건강검진과 위아래 내시경까지 하고 속이 완전히 비어있는 터라, 부담이 덜할것 같은 태국 음식을 올해의 건강검진이 끝난이후의 첫 끼니로 결국 선택했습니다. 자리에 앉으니 직원분이 테이블 세팅을 해주네요. 타논55 광진구의점 메뉴판. 이국적이면서도 동시에 한국적인 느낌이 물씬 나는 메뉴들 입니다. 태국이 우리와 머지 않은 나라라 식생활이 상당히 비슷한듯? ‘비어’있는 속에 맥주가 땡겼지만, 완전히 빈속에 맥주는 부담스러웠고 대신 태국 밀크티를 주문했습니다. 실론티와 우유 커피가 오묘히 섞인맛? 원샷으로 넘겨버릴 정도로 달콤-부드럽..

쩝쩝박사 2022.09.13

#20 섹터 70 공략 적 기지 점령 - Mindustry 민더스트리 마인더스트리 공략

섹터 70은 네임드 섹터 핵 생산 단지와 인접한 노멀 섹터로, 매우 높음 위험도의 적 기지입니다. 핵 생산 단지를 주기적으로 공격해오는 적의 침공을 차단하기 위해 섹터 70을 점령하고자 합니다. 인접해있는 지역인 핵 생산 단지에서 출격합니다! 보라보라한 지형에 코어가 시작 설계도와 함께 자릴잡았습니다. 섹터 70 미니맵. 지형 구조가 마치 닻처럼 생겼네요. 적이 꽤나 넓은 영역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적 기지를 한번 둘러봅니다. 터렛 구성에 립플은 거의 없고 스펙터와 퓨즈가 주로 보입니다. 적 코어는 두개가 있네요. 오른쪽에 위치한 적 코어. 그리고 왼쪽에 위치한 적 코어. 코어 주변에 모두 포어쉐도우가 배치되어 있습니다. 바다지형이 있다면 오무라를 생산해 편하게 지역 점령이 가능할텐데, 오무라를 대체할 ..

#19 대행성 출격단지 공략 적 기지 점령 (민더스트리 엔딩 스포 주의!) - Mindustry 민더스트리 마인더스트리 공략

극한 위험도 네임드 섹터 대행성 출격단지 공략. 이 행성에서의 마지막 전투를 준비하세요. 적이 필사의 각오로 지키고 있는 이 해안 기지엔 우주에 코어를 발사할 수 있는 시설이 있습니다. 해군을 생산하여 적을 신속하게 제거하고, 그들의 코어 발사 기술을 약탈하십시오. 건투를 빕니다. 대행성 출격단지 설명에 ‘마지막 전투’라는 언급이 있습니다. 캠페인의 마지막 미션인건 확실한것 같긴 하고, 이 지역을 점령하면 아직 남아있는 적 기지가 모두 파괴가 되는건 아닐지 기대해봅니다. 황폐한 협곡에서 출격합니다. 민더스트리 마지막 캠페인, 대행성 출격단지에 도착했습니다. 맵 설명에서 해군에 대한 언급이 있었듯 지역의 절반 가량이 바다입니다. 여지껏 경험하지 못했던 적의 강한 디펜스 라인이네요. 스펙터가 곳곳에 배치되어..

#18 황폐한 협곡 공략 점령 - Mindustry 민더스트리 마인더스트리 공략

민더스트리 캠페인 핵 생산 단지와 폐허 : Impact 0078에 이어 이번에는 네임드 섹터 황폐한 협곡의 점령을 목표로 합니다. 극도로 위험한 지역입니다. 자원은 풍부하지만, 사용 가능한 공간은 거의 없습니다. 코어 파괴의 위험성이 높으니 가능한 한 빨리 떠나십시오. 또한, 적의 공격 딜레이가 길다고 안심하지 마십시오. 지역 설명에서처럼 황폐한 협곡은 얼마나 위험한 지역일지 궁금하네요. 폐허 : Impact 0078의 자원을 가지고 출격합니다. 황폐한 협곡에 도착! 으스스한 분위기의 첫인상이 지역의 이름과 잘 어울립니다. 코어 바로옆엔 어둠을 밝혀주고 있는 거대한 용암 지대가 있네요. 황폐한 협곡 미니맵. 좁고 길다란 지형구조가 특이하네요. 그리고 미니맵에서 납이 별로 보이지 않습니다. 코어의 바로옆 ..

#17 전초기지 개조 Ground Zero Rebuilding Renewal - Mindustry 민더스트리 마인더스트리 공략

민더스트리 캠페인을 진행하며 느낀점이, 지역마다 특정 자원이 부족하더라구요. 예를들어, 출격할때 가져온 플라스터늄을 다 써버려 건설에 플라스터늄이 필요한 건물을 갑자기 못 지을때, 더군다나 석유 추출할 지형이 없어 플라스터늄을 만들지 조차 못할때 정말정말 난감하더라구요. 그래서 대책을 세웠습니다. 그것은 바로.. 우리의 최초 점령지, ‘전초기지’를 활용하는 것입니다! 아래는 전초기지의 지역 설명입니다. 이 장소는 다시 시작하기에 최적의 환경을 지닌 장소입니다. 적의 위협 수준이 낮으며, 자원이 거의 없습니다. 가능한 많은 양의 구리와 납을 수집하세요. 이제 출격할 시간입니다! 마지막의 ‘이제 출격할 시간입니다!’문구는 개발자가 마치 힌트를 준 것이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들게끔 합니다. 전초기지는 자원은 ..

#16 폐허 : Impact 0078 공략 점령 - Mindustry 민더스트리 마인더스트리 공략

핵 생산 단지의 점령에 이어, 이번에는 네임드 섹터 폐허 : Impact 0078을 공략합니다. 이곳에는 시스템에 처음 진입한 우주 수송선의 잔해가 있습니다. 우주선이 파괴된 잔해에서 최대한 많은 자원을 회수하고, 손상되지 않은 그들의 기술을 획득하세요. 우주선! 이곳에 우주선이 있나봐요!! 역시나.. 유닛의 연구를 진행하느라 자원을 많이 써버렸습니다. 메타의 양이 걸리긴 하지만 그나마 자원이 충분한 타르 벌판에서 출격을 합니다. 도착! 폐허 : Impact 0078 미니맵. 격자 무늬가 파괴된 우주선의 잔해인가봐요. 적 소환구역 위치. 적 소환 구역에 맞게 대형 대형 티타늄 벽으로 디펜스 라인을 설계합니다. 이후 이어진 발전 시설 건설. 공압 드릴과 기계식 펌프를 섞어 건설하면 압축 공기분사 드릴과 화..

#15 핵 생산 단지 공략 점령 - Mindustry 민더스트리 마인더스트리 공략

네임드 섹터 핵 생산 단지를 공략합니다. 과거 토륨의 생산, 연구와 처리를 위해 운영되었던 시설입니다. 지금은 그저 폐허로 전락했으며, 다수의 적이 배치된 지역입니다. 그들은 끊임없이 당신을 공격할 것입니다. 토륨의 다양한 사용법을 연구하고 익히십시오. 유닛 연구를 진행하느라 자원을 많이 소모했습니다. 그나마 자원이 여유로운 섹터 133에서 출격합니다. 모노-폴리 설계도와 함께 핵 생산 단지에 도착했습니다. 핵 생산 단지 미니맵. 정말 넓은 지형입니다.. 핵 생산 단지의 적 소환구역은 미니맵을 보고 예상했던 위치, 코어와 가장 먼 곳에 있네요. 일시정지를 하고 잠시 맵을 살펴봅니다. 건물 잔해 사이에 토륨과 고철이 보이네요. 물 웅덩이 주변으로 작은 모래밭과 용암 지대도 보입니다. 버려진 터렛 스펙터 주..

플라스터늄 설계도 (플라스터늄 공장, 3 플라스터늄 압축기) - Mindustry 민더스트리 마인더스트리 설계도

플라스터늄 압축기는 티타늄과 석유로 플라스터늄을 생산합니다. 석유를 정말 많이 먹는다고 설명되어있네요. 플라스터늄을 위한 석유 추출기는 기본적으론 15의 석유를 생산하는데, 검은 모래위에 건설하면 보너스가 적용되어 효율이 150%가 됩니다. 이렇게 검은 모래 위에서 보너스가 적용된 석유 추출기 두개는 세개의 플라스터늄 압축기를 가동할 수 있게됩니다. 설계도를 이용해 검은 모래 위에 배치하면 됩니다. 설계도를 위아래로 컨베이어만 겹치도록 건설해 사용하기도 가능합니다. 초당 다섯개 정도의 플라스터늄을 생산하네요. 석유가 없는 지역에서 이정도 생산량이면 꽤 괜찮은듯 합니다. 설계도: bXNjaAF4nE1Oy27DIBCcgF9JlEY59Nh7e/BHEUMjJBssjOvm06MmpbtYVWu0O3h3HqDBVqB..

반응형